Gastroscopy

심장 · 당뇨 클리닉

CARDIOVASCULAR DISEASE
심혈관계 질환이란?



심혈관계 질환은 심장과 동맥에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심장병은 태어날 때부터 있는 선천성 심장병과 

살아가면서 발생하는 후천성 심장병이 있으며 

심장의 구조를 근육, 혈관, 판막, 심장의 전기 신호를 

담당하는 전도계로 나눌 수 있듯이 

심장병도 각 부위에 생기는 질환들로 

분류할 수 있으며 심장질환의 증상으로는 

흉통, 호흡곤란, 허약감, 실신 등이 있으며

 

이런 증상이 나타날 시 즉각적인 진단과 치료가 

결과에 크게 형향을 미치는 질환이 심장질환인 만큼 

빠른 시일 내에 전문가와 상의하여 

진료를 받는게 중요합니다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



2009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사망원인 통계를 보면 고혈압성 질환, 허혈성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을 
포함한 순환기계통질환은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2위로 악선 종양 다음으로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남성 55세이상 
여성은 65세이상에서 순환기계통 질환의 
사망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방법



심혈관질환의 예방으로는 
기본적으로 금연과 금주를 실천하고, 
모든 병의 근원이 스트레스를 잘 조절해야 합니다. 

심혈관질환의 예방으로 가장 중요한건 
건강한 생활습관 입니다. 

주요 원인 중 하나인 고혈압을 예방하려면 
음식을 싱겁게 먹어야 합니다. 

이와 함께 심장을 건강하게 유지하려면 
매일 30분 이상 규칙적인 운동하며 이를 통해
 혈당 및 콜레스트롤 수치를 조절하고 
체중 관리를 통해 예방 할 수 있습니다.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질병

고혈압, 허혈성 심장 질환,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증, 죽상경화증, 뇌혈관 질환. 뇌졸증, 부정맥

DIABETES
당뇨병이란?



정의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 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체내에 흡수된 포도당이 이용되지 못하고 

혈액 속에 쌓여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 되는 

상태를 당뇨병이라고 합니다.



원인


당뇨제1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전혀 생산하지 못하는 것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인슐린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을 특징으로 합니다. 

제2형 당뇨는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른 

고열량, 고지방, 고단백의 식단,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 환경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 합니다. 


이 외에 특정 유전자 결함에 의해서도 당뇨병이 

생길 수 있으며 췌장 수술, 감염, 약제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습니다.


당뇨병의 분류


제 1형 당뇨병(인슐린 의존형)

주로 소아에서 발생하나, 

성인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급성 발병을 하며 심한 다음, 다뇨, 

체중감소 등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납니다.


제 2형 당뇨병(인슐린 비의존형)


주로 40세 이후에 많이 발생하고 

절반이상의 환자가 과체중이거나 

비만을 갖고 있습니다. 


제1형 당뇨병에 비해 임상 증상이 뚜렷하지 않고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임신성 당뇨병


임신중 진단된 당뇨병으로, 

여성이 임신을 하게 되면 모체의 내당기능이 

저하되어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상태가

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출산 후에도 제2당뇨병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아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차선 당뇨병


유전질환, 췌장질환, 내분비질환, 감염, 

약물에 의해 인슐린 분비기능이 저하되어 

발생합니다.



당뇨병의 증상

1. 다뇨증 (소변양이 늘고 자주 보게 됨)

 2. 다음증 (목이 자주 마르고 물을 많이 마시게 됨) 

3. 다식증 (배가 자주 고프고 많이 먹게 됨)

 4. 체중감소 

5. 오랜기간 고혈당 상태 유지시 여러 합병증 발행

HIGH BLOOD PRESSURE
고혈압이란?



고혈압의 종류


1차성 고혈압


본태성 고혈압이라고도 하며,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고혈압증을 의미합니다. 


1차성 고혈압은 전체 고혈압 환자의

90~95%이상을 차지하는데, 

대게 나이가 들면서 점차 증가합니다. 


유전 경향이 강하며, 소금 섭취량이

많은 지역에서 발생률이 증가합니다.



2차성 고혈압


기존에 환자가 앓고 있던 다른 질환에 의해서 

고혈압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신장 질환이나 부신 종양, 일부 선천성 심장질환 등 다양한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고
일부 약물도 2차성 고혈압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전체 고혈압 환자의 5~10% 정도를 차지하며,
1차성 고혈압에 비해 고혈압이 갑자기 나타나고

혈압도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고혈압과 관련된 위험 인자

가족력, 음주, 흡연, 고령, 운동부족, 
비만, 짜게 먹는 습관,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심리적 요인이 있습니다. 


심혈관계 질환이란?



심혈관계 질환은 심장과 동맥에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심장병은 태어날 때부터 있는 선천성 심장병과 살아가면서 발생하는 후천성 심장병이 있으며 

심장의 구조를 근육, 혈관, 판막, 심장의 전기 신호를 담당하는 전도계로 나눌 수 있듯이 

심장병도 각 부위에 생기는 질환들로 분류할 수 있으며 심장질환의 증상으로는 

흉통, 호흡곤란, 허약감, 실신 등이 있으며 이런 증상이 나타날 시 즉각적인 진단과 치료가 결과에 크게 형향을 미치는 질환이

심장질환인 만큼 빠른 시일 내에 전문가와 상의하여 진료를 받는게 중요합니다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방법



 2009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사망원인 통계를 보면 

고혈압성 질환, 허혈성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을 포함한 

순환기계통질환은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2위로 

악선 종양 다음으로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남성 55세이상 여성은 65세이상에서 순환기계통 

질환의 사망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심혈관질환의 예방으로는 기본적으로 금연과 금주를 실천하고, 

모든 병의 근원이 스트레스를 잘 조절해야 합니다. 

심혈관질환의 예방으로 가장 중요한건 건강한 생활습관 입니다. 

주요 원인 중 하나인 고혈압을 예방하려면 음식을 싱겁게 

먹어야 합니다. 이와 함께 심장을 건강하게 유지하려면 

매일 30분 이상 규칙적인 운동하며 이를 통해 혈당 및 콜레스트롤 수치를 조절하고 체중 관리를 통해 예방 할 수 있습니다.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질병

고혈압, 허혈성 심장 질환,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증, 죽상경화증, 뇌혈관 질환. 뇌졸증, 부정맥

당뇨병이란?


정의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 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체내에 흡수된 포도당이 이용되지 못하고 혈액 속에 쌓여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 되는 상태를 당뇨병이라고 합니다.


원인

당뇨제1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전혀 생산하지 못하는 것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인슐린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을 특징으로 합니다. 
제2형 당뇨는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른 고열량, 고지방, 고단백의 식단,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 
환경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 합니다. 이 외에 특정 유전자 결함에 의해서도 당뇨병이 생길 수 있으며 
췌장 수술, 감염, 약제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습니다.

당뇨병의 분류


제 1형 당뇨병(인슐린 의존형)


주로 소아에서 발생하나, 성인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급성 발병을 하며 심한 다음, 다뇨, 체중감소 등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납니다.



제 2형 당뇨병(인슐린 비의존형)


주로 40세 이후에 많이 발생하고 절반이상의 환자가 과체중이거나 

비만을 갖고 있습니다. 제1형 당뇨병에 비해 임상 증상이 뚜렷하지 않고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임신성 당뇨병


임신중 진단된 당뇨병으로, 여성이 임신을 하게 되면 

모체의 내당기능이 저하되어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상태가 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출산 후에도 제2당뇨병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아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차선 당뇨병


유전질환, 췌장질환, 내분비질환, 감염, 약물에 의해 

인슐린 분비기능이 저하되어 발행합니다.




당뇨병의 증상

1. 다뇨증 (소변양이 늘고 자주 보게 됨) 

2. 다음증 (목이 자주 마르고 물을 많이 마시게 됨) 

3. 다식증 (배가 자주 고프고 많이 먹게 됨) 

4. 체중감소 

5. 오랜기간 고혈당 상태 유지시 여러 합병증 발행

고혈압 이란?


고혈압의 종류


1차성 고혈압

본태성 고혈압이라고도 하며,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고혈압증을 의미합니다. 
1차성 고혈압은 전체 고혈압 환자의 90~95%이상을 차지하는데, 대게 나이가 들면서 점차 증가합니다. 
유전 경향이 강하며, 소금 섭취량이 많은 지역에서 발생률이 증가합니다.


2차성 고혈압

기존에 환자가 앓고 있던 다른 질환에 의해서 고혈압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신장 질환이나 부신 종양, 일부 선천성 심장질환 등 다양한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고 
일부 약물도 2차성 고혈압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전체 고혈압 환자의 5~10% 정도를 차지하며, 
1차성 고혈압에 비해 고혈압이 갑자기 나타나고 혈압도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고혈압과 관련된 위험 인자
가족력, 음주, 흡연, 고령, 운동부족, 비만, 짜게 먹는 습관,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심리적 요인이 있습니다.

고혈압의 진단

혈압은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으로 구별하는데, 수축기 혈압은 심장이 수축하여 혈액을 심장 밖 혈관으로 밀어 낼 때의 압력이고, 

이완기 혈압은 심장이 확장 할 때 혈관에서 유지되는 압력입니다. 

고혈압의 진단기준은 아래표와 같이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일때를 말합니다.


혈압분류
수축 혈압 (mmHg)

이완기 혈압 (mmHg)
1단계 고혈압
120 미만
그리고
80 미만
고혈압 전단계
120 ~ 139
또는
80 ~ 69
1단계 고혈압
140 ~ 159
또는
90 ~ 99
2단계 고혈압
160 이상
또는
100 이상


* 혈압측정시에는 2회 측정하고 1주이상의 간격으로 2회이상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여 위 기준에 따라 진단 하게 됩니다.

혈압측정 시 주의사항

1. 혈압 측정 30분전에는 담배를 피우거나 

커피를 마시지 않습니다.


 2. 측정 전, 의자에 등을 편하게 기대고

 5분간 않아 있다 측정합니다.


 3. 팔이 편하게 노출 될 수 있도록 짧은 소매의

 옷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4. 측정 전, 화장실을 미리 다녀오는 것이 좋습니다.


 5. 두 번 이상 잴때는 2분 이상의 간격을 두고 측정하고,

 평균치를 계산합니다.

혈압측정 시 주의사항

1. 혈압 측정 30분전에는 담배를 피우거나 커피를 마시지 않습니다. 

2. 측정 전, 의자에 등을 편하게 기대고 5분간 않아 있다 측정합니다. 

3. 팔이 편하게 노출 될 수 있도록 짧은 소매의 옷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4. 측정 전, 화장실을 미리 다녀오는 것이 좋습니다. 

5. 두 번 이상 잴때는 2분 이상의 간격을 두고 측정하고, 평균치를 계산합니다.

성인 예방접종 일정표


대상감염병
백신종류
만 19~29세
만 30~39세
만 40~49세
만 50~59세
만 60~64세
만 65세 이상
인플루엔자 1)
Flu
위험균에 대해 매년 1회
매년 1회
매년 1회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Tdap/Td
Tdap으로 1회 접종, 이후 매 10년 마다 Td 1회
폐렴구균 2)
PPSV23
위험군에 대해 1회 또는 2회
1회
PCV13
위험군 중 면역저하자, 무비증, 퇴척수액누출, 인공와우 이식 환자에 대해 1회
A형간염 3)
HepA
2회
항체검사 후 2회
위험군에 대해 항체검사 후 2회 접종
B형간염 4)
HepB
위험군 또는 2회 접종/감염력이 없을 경우 항체 검사 후 3회 접종
수두 5)
Var
위험군 또는 접종력/감염력이 없을 경우 항체검사 후 2회 접종



홍역/유행성/
이하선염/풍진 6)
MMR
위험군 또는 접종력/감염력이 없을 경우 1회 또는 2회 접종 ; 가임 여성은 풍진 항체 검사 후 접종



사람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증
HPV
만 25~26세 이하 여성 총 3회





대상포진
HZV




1회
수막구균 7)
MCV4
위험군에 대해 1회 또는 3회
B형 헤로필루스 인플루엔자
Hib
위험군에 대해 1회 또는 3회


연령권장
연령면역의 증거가 없는(과거 감염력이 없고 예방접종력이 없거나 불확실) 대상 연력의 성인에게 권장됨
* 연력권장의 경우에도 해당질병의 위험군(각주 참고)에게는 접종을 더욱 권장함
위험군 권장특정 기저질환, 상황 등에 따라 해당 질병의 위험군에게 권장
국가예방접종사업으로 무료접종


감염병별 위험군


1) 인플루엔자 위험군
만성질환자, 면역저하자, 임신부, 의료기관 종사자, 집단시설 거주자,
위험군을 돌보거나 함께 거주하는 자 등
2) 폐렴구균 위험군

ⅰ) 면역 기능이 저하된 환자. HIV 감염증, 만성 신부전과 신증후군, 면역억제제나 방사선 치료를 요하는 질환
      (악성 종양, 백혈병, 림프종, 호지킨병) 혹은 고형 장기 이식, 선천성 면역결핍질환 등)

ⅱ)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 또는 비장기능 장애 환자, 겸상구 빈혈 혹은 헤모글로빈증

ⅲ) 면역 기능은 정상이며, 뇌척수액 누출, 인공와우 이식 상태 

ⅳ) 면역기능은 정상이나 다음과 같은 질환을 가진 환자 만성 심장 질환, 만성 폐 질환, 만성 간 질환, 당뇨병 등

3) A형간염 위험군

만성간질환자, 혈액제재를 자주 투여 받는 혈우병 환자, 보육시설 종사자, A형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의료인 및 실험실 종사자, A형간염 유행지역 여행자 또는 근무 예정자, 음식물을 다루는 요식업체 종사자,

남성 동성애자. 약물중독자, 최근 2주 이내에 A형간염 환자와의 접촉자

4) B형간염 위험군
만성 간질환 환자 혈액투석환자, HIV 감염인, 혈액제재를 자주 투여받는 환자, B형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될 위험이 높은 환경에 있는 사람
5) 수두 위험군

수두 유행 가능성이 있는 환경에 있는 사람(의료인 학교 혹은 유치원 교사, 학생, 영유아와 함께 거주하는 사람. 

수두 유행지역 여행자) 면역저하 환자의 보호자, 가임기 여성 중 수두에 면역이 없는 사람

6) 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위험군
의료인 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유행국가 해외여행자, 가임기 여성 중 면역이 없는사람 등
7) 수막구균 위험군

해부학적 또는 기능적 무비증, 보체결핍 환자, 군인(특히 신병), 직업적으로 수막구균에 노출되는 실험실

근무자, 수막구균 감염병이 유행하는 지역에서 현지인과 밀접하게 접촉이 예상되는 여행자 또는 체류자

8)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위험군

침습성 Hib 감염 고위험군인 기능적 해부학적 무비증, 보체결핍, 겸상적혈구빈혈증.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



백신별 접종 기준 

*상세내용은 2장 '감염병별 예방접종 참조


인플루엔자 백신
(고시) 예방접종의 실시기준 및 방법에 따라 만 50세 이상 성인 및 연령에 상관없이 위험군에 대해
 매년 1회 접종 만 65세 이상 성인은 국가예방접종사업 대상으로 무료접종 가능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백신

모든 연령 성인에 대해 Tdap으로 1회 접종, 이후 매 10년마다 Td 1회 접종 

폐렴구균 23가 다당 백신(PPSV23)

만 65세 이상 성인 및 폐렴구균 감염 위험군에 대해 1회 접종

※ 만 65세 이상 성인은 국가예방접종 대상으로 보건소(보건지소)에서 무료접종 가능

폐렴구균 단백결합 백신(PCM13)
폐렴구균 감염 위험군 중 면역저하자, 기능적 해부학적 무비증, 뇌척수액누출, 인공와우이식 환자에 대해 접종
A형간염 백신

면역의 증거가 없는 만 20~39세 성인 또는 위험군에 대해 2회 접종

B형간염 백신
면역의 증거가 없는 성인 또는 위험군에 대해 항체 검사 후 3회 접종
수두 백신

면역의 증거가 없는 1970년 이후 출생자 또는 위험군에 대해 항체검사 후 2회 접종

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백신

면역의 증거가 없는 1968.11일 이후 출생자(홍역) 및 위험군에 대해 항체검사 확인 후 접종하거나

비용을 고려하여 검사 없이 접종할 수도 있음

※ 의료인은 진료 중 노출 위험과 감염 시 의료기관 내 환자에게 전파할 위험이 높아 2회 접종을 권고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 백신이전에 예방접종을 완료하지 못한 만 25-26세 이하 여성에 대해 3회 접종
대상포진 백신만 6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접종, 과거 대상포진을 않은 경우 자연면역을 얻는 효과가 있으나
예방접종 을 원하는 경우 접종 가능(최소 6~12 개월 경과 후 접종 권장)
수막구균 백신
위험군에 대해 1회 (정상면역이나 노출위험 있는 경우) 또는 2회(해부학적 또는 기능적 무비증, 보체결핀,HIV 감염인) 접종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백신
위험군에 대해 1회 또는 3회(조혈모세포이식환자) 접종


• 감염병별 위험군 및 백신 접종기준 등 자세한 내용은 '성인 예방접종 안내서 등 통해 최인하시기 바랍니다.


질환∙상황에 따른 성인 예방접종 권장표


구분
당뇨병
만성 
심혈관 
질환
만성 
폐질환
만성 
신질
만성 
간질환
항암 치료 중인 
고형암
이식 이외 면역억제제 사용
장기 이식
조혈 
모세포 
이식
무비증
HIV감염
임산부
CD4>200/㎕
CD4≥200/㎕
인플루엔자(Flu)













폐렴구균(PPSV)












가)
폐렴구균(PCV)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Tdap/Td)







Tdap
Tdap



나)
A형간염(HepA)







다)





B형간염(HepB)













수두(Var)








라)




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MMR)








라)




대상포진(HZV)













 수막구균(MCV4)













b형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ib)













폴리오(IPV)














가) 폐렴 구균 위험군의 경우 가능한 임신 전 접종을 권고하나 임신 중 폐렴구균 감염예방백신이 필요 시 PPSV23으로 접종 가능

나) 임신 전 접종력이 없는 경우, 임신 중 27~36주 사이 접종, 임신 중 접종하지 못한 경우 분만 후 신속하게 접종

다) 간이식 환자에서는 A형간염 접종이 필요

라) 이식한지 24개월을 초과하였고, 이식편대숙주반응이 없는 경우에 접종을 고려할 수 있음

질환(상황)에 따라 접종 필요성이 강조
다른 권고기준(연령, 위험인자 등)에 해당할 경우 접종
금기
고려할 필요 없음

CUSTOMER CENTER


평   일 : 오전9시~오후6시
토요일: 오전9시~오후1시
(일요일,공휴일은 쉽니다)

더베스트 내과 SNS



공식 sns채널을 통해 더베스트 내과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세요.